KINO21

영화 TV 음악에 대한 이런저런 단상들

비극적 영웅 잭 바우어, [24] 시즌 6 최종회 단상

2007. 6. 28. 09:36  |   리뷰  |   키노씨
#. 스포일러의 불안을 (가급적) 고려합니다.



1. 잭 바우어, 햄릿과 오이디푸스왕 사이

잭 바우어는 점점 더 자신의 운명을 저주하는 신화 속의 캐릭터를 닮아가고 있다. 잭 바우어는 오이디푸스왕과 햄릿의 운명을 한 몸에 지닌 듯, 그렇게 절규하고, 또 마지막엔 늘 그렇듯, 불안과 분노와 슬픔에 휩싸인 채로 침묵한다.

TV 드라마 역사를 새로 쓰고 있는 정치 액션 첩보 [24]는 잭 바우어라는 걸출한 캐릭터를 탄생시켰다. 그는 정말 비현실적인 인물이다. 그는 모든 고통을 당연한 듯 받아들이고, 그것을 결국은 극복한다. 무엇 때문에? 그 질문에 대해 잭 바우어는 대답하지 않는다. 그것은 그저 캐릭터의 운명 같은 것에 불과하다.

잭은 비현실적인 캐릭터이긴 하지만, 그 실존적 내면에 대한 놀랄만한 형상화, 그를 둘러싼 인물들의 역동적인 현실감 때문에 그 어떤 현존보다 더 현존하는 인물 같다. 그는 가장 비현실적이면서, 동시에 현실적인 캐릭터다. 잭의 이미지-액션이 드라마 내러티브의 외피로서 비현실성을 부여한다면, 그 이미지-액션을 만들어내는 인물 내면, 그 갈등적 드라마에 의해 분노하고, 또 싸우는 실존은 내적 표상으로의 현실감을 강하게 드러낸다.

잭 바우어는, 죽고 싶지만, 죽을 수 없는 캐릭터이며, 그 잭이라는 캐릭터의 표상은 상업 드라마의 관습적인 이야기구조와 때론 긴장하고, 때론 그 관습을 극적으로 초월함으로써 불멸성을 얻는다.


사용자 삽입 이미지




2. 정치 드라마로서의 [24] - 두 개의 위협 

[24]의 놀라운 점은 액션의 스피드가 아니라, 액션에 내재된 내러티브의 스피드다.
그리고 그 속도는 액션을 만들어내는 외부의 위협과 그 위협들과 관계 맺는 내부의 위협(배신), 양 날개를 달고 질주한다. 여기서 흥미로운 것은 세계 유일 수퍼파워로서의 미국는 희미해진 채로 묘사된다는 점이다. 이는 의도적이다. 미국은 공격 당하고, 위기에 처해 있으며, 그것은 외부와 더불어 내부에서 온다. 거시적인 관점에서 [24]는 다소간 보수적인 안보관(세계관)에 기반하고 있다.

정치 드라마로서의 [24]의 탁월함은 거시적인 관점에서는 미국이라는 수퍼파워의 존재를 부정하는 과장(엄살)에 기반하면서도, 그 이야기의 과장을 놀랄만큼 입체적인 캐릭터와 구성(플롯)으로 극복하고 있는 점이다. 이것이 가능한 것은 그 갈등과 불안과 배신의 드라마를 구현하는 각 캐릭터의 생명력이다. 특히 탐 레녹스(Peter MacNicol)는 잭 바우어와 비견할 만한 [24]의 가장 걸출한 캐릭터 중 하나다.











  |